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공지사항

제      목

인사관리(손일상 교수님) 시험 관련 공지입니다. 2007.03.19 | 3,308

첨부파일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2007년 1학기 전공시험을 치르시는 대학원생들께







인사관리에 대해 문의하시는 분이 많으셔서 이렇게 공지합니다.



시험범위는 강의했던 범위 그대로 입니다.



그리고 시험문제 유형은 지난학기 기말시험과 유사한 패턴일 것입니다.



다만 50분 시험시간이기 때문에 문제의 수는 3개정도로 할 것 같습니다.



문제 키 워드는 "job evaluation, job-based vs. person-based, performance appraisal, measurement, reliability & validity, compensation structure, performance pay, selection" 입니다.







<주의사항>



-시험은 오픈북이 아닙니다.



-지난학기에 강의들었던 분들은 지난학기 답안정도로 쓰시면 Fail할것입니다.



F학점을 주려다가 차마 못하고 학점을 드렸습니다.



-시험성적은 협상이 아닙니다. 협상은 절대 금지입니다.



-성적은 제가 드리는게 아니라 받아가시는 겁니다. 열심히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출제범위>





Textbook



§ Applied psychology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Wayne F. Cascio







Articles



§ Schwab, D. P. (1984). Job evaluation and pay setting: concepts and practices. In E. R. Livernash. (1984). Comparable Worth: Issues and Alternatives, Equal Employment Advisory Council, pp.49-77.



§ Landy, F. J. & Farr, J. L. (1980), Performance rat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87, pp.72-107.



§ Sanchez, J. I. & Levine, E. L. The Analysis of work in the 20th and 21st centuries, pp.71-89.



§ Barret, G. V. (1991). Comparison of skill-based pay with traditional job evaluation technique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2, 97-105.



§ Wittig, M. A. & Berman, S. L. (1991). A set of validity criteria for modeling job-based compensation system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2, 107-118.



§ Weiner, N. J. (1991). Job evaluation systems: a critique.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2, 119-132.



§ Gupta, N. & Jenkins Jr., G. D. (1991). Practical problems in using job evaluation systems to determine compensation, 1:2, 113-144.



§ Lawler III, E. E. (1991). Paying the person: a better approach to manage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2, 145-154.



Mahoney, T. A. (1991). Job evaluation: endangered species or anachronism?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2, 155-162.







<2006년 기말고사 문제>







1. Barrett(1991)의 논문 “Comparison of skill-based pay with traditional job evaluation techniques”에서 이야기 하는 Skill-based pay가 job-based pay보다 좋은 장점은 무엇이며 “Equal Pay Act”를 고려했을 때 Skill-based pay의 단점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2. 선발(Selection)의 목표는 조직에 적합한 인재를 충분하게 확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준타당도(criterion-related validity)가 높아야 한다. 기준타당도가 높아야 하는 이유를 선발점수와 미래직무성과를 기준으로 설명하시오.





3. Landy & Farr(1980)의 논문 “Performance Rating”의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고 이 연구가 인사평가에 대한 연구분야에 미치는 implication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4. 측정(measurement) 차원에서 “composite vs. multiple”과 “subjective vs. objective”에 대하여 각각 비교 설명하시오.





5. 임금(Pay Structure)을 결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external competitiveness, internal consistency, individual contribution을 통해 설명하시오.